2024놀이관찰 보고서(만 4세) |
![]() |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
분량 : 5 페이지 /hwp 파일 |
설명 : 성심성의껏 작성한 글이며, 성적은 A+ 이 나왔습니다. 그 이후에도 여러 번 자료를 검토하여 더욱 완성도가 높은 자료로 만들어 냈습니다. 구매하시면 후회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1. 관찰한 놀이를 짧게 설명하세요.
2. 관찰한 놀이 과정을 쓰세요. 3. 선생님의 놀이지원은 어떠한가? 4. 아이들은 이 놀이에서 무엇을 배웠나? 도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다른 친구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친구의 도구를 빌려 쓰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자연스럽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익혔다. 또한 목장 사장과 방문객이라는 서로 다른 역할을 맡고, 그에 맞게 행동하며 상대방과 소통하는 법을 배웠다. 마지막으로, 놀이에 몰입하면서 유아들은 즐거움과 몰입의 경험을 자연스럽게 획득할 수 있었다. 놀이가 진행될수록 유아들은 더 이상 도구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놀이 자체에 몰입하며 즐거움을 느꼈다. 이 과정에서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하고, 협력하여 농장을 깨끗하게 만드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재미를 경험하였다. 5. 관찰자 저널 1) 나라면 어떤 지원을 했을까? 내가 교사라면 다섯 가지 측면에서 지원 및 교수학습을 시도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는 도구를 더욱 확보하려고 상급자에게 요청했을 것이다. 실제로 유아의 수에 맞는 충분한 삽과 여러 대의 수레가 있었다면, 놀이가 더욱 원활하고 즐겁게 진행되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상당수의 유아들이 도구 부족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꼈고, 사용하고 싶은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잠시 기다렸어야 했기에 아쉬움을 느끼기도 했다. 대부분의 유아가 기다리면서 자기들끼리 자율활동을 추구하였지만, 일부 유아의 경우 기다리는 것을 지루해하기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도구가 부족하지 않았더라면 삽을 하나씩 쥐고 똥을 치우는 활동을 하면서 서로 경쟁하거나 협력하는 방식으로 놀이의 질이 높아졌을 것이고, 수레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으면 똥을 옮기는 과정이 더 다양해지고 유아들이 상황에 맞춰 더 창의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다만, 교수학습 현장에서 교구가 모자라는 경우는 워낙 많고 현실적으로 봤을 때 상급자에게 교구확보를 요청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2) 놀이하는 아이들을 보며 느낀 점 3) 현장의 놀이관찰/지원에 관하여 알게 된 점 |
출처 : 해피레포트 자료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