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학기 청소년과부모 기말시험 과제물(개인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론적 개념)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분량 : 9 페이지 /zip 파일설명 :
‘부모가 되기 전에 이해해야 할 나의 모습’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생각해보기 위해, 청소년과부모 4강 영상과 교재를 바탕으로 1) 개인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론적 개념을 3가지 이상 선정해 설명하고, 2) 이러한 개념을 나 자신과 나의 삶에 적용해본 내용을 제시하고, 3) 이를 통해 배운 점과 느낀 점을 쓰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이론적 개념
2. 자신의 삶에 적용해 본 내용
3. 배운 점과 느낀 점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개인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론적 개념.hwp
2. 나 자신과 나의 삶에 적용해본 내용.hwp
3. 이를 통해 배운 점과 느낀 점.hwp
4. 서론 작성시 참조.hwp
5. 결론 작성시 참조.hwp
I. 서 론
자신의 성격을 이해하고 이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매우 어렵고 힘든 과정이다.
그러나 성숙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타인을 이해하기 이전에 자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인정하며 수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프로이트(S. Freud)는 인간의 성격이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심리세계를 에너지 체계로 보았는데, 세 가지 성격 구성요소 중 어느 곳에 더 많은 심리적 에너지가 집중되는가에 따라 개인의 행동 및 성격특성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한정된 심리적 에너지를 서로 많이 차지하기 위해서 삶의 매 순간 원초아, 자아, 초자아는 성격구조 안에서 갈등 상황에 놓이게 된다.
자아는 환경의 요구와 더불어 원초아와 초자아를 중재하는 성격의 중심 구조로서 이들을 잘 조절해야 하는 부담을 지닌다.
융(Jung)의 분석심리학은 체험에 근거한 심리학 이론이다.
정상인과 정신장애 환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관찰하고 융 자신의 마음을 깊이 살펴본 경험을 토대로 엮은 이론이다.
분석심리학은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을 둔 이론으로서 객관적인 사실이나 절대적인 진리에 관해서 말하고 있지는 않다.
분석심리학에서는 개인의 마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실과 경험에 초점을 맞출 뿐 그것의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을 판단하지 않는다.
이 레포트는 ‘부모가 되기 전에 이해해야 할 나의 모습’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생각해보고 배운 점과 느낀 점 등을 서술하였다.
II. 본 론
1. 이론적 개념
1) 불안
자아의 기능이 약해지거나 다른 세력의 힘이 강해지면, 자아는 불안을 느끼게 된다.
불안은 정신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어떤 것을 하도록 동기화시키는 긴장상태를 의미한다.
심리적 에너지가 한정되어 있는데 원초아, 자아, 초자아 간의 갈등이 통제 수위를 넘어설 때 불안이 유발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불안을 원치 않으며 그것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원한다.
자아가 느끼는 불안은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현실 불안(reality anxiety)은 자아가 외부세계의 현실을 지각하여 느끼는 불안으로, 실제적인 위험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 이는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불안으로, 불안의 원인이 외부에 있다고 하여 객관적 불안(object anxiety)이라고도 하며, 불안의 정도는 실제 위험에 대한 두려움의 정도와 비례한다.
둘째, 신경증적 불안(neurotic anxiety)은 원초아와 자아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이다.
막대한 힘을 가진 원초아에 의해 충동적으로 표출된 행동 때문에 혹시 처벌받지 않을까 하는 무의식적인 두려움이다.
원초아의 충동이 의식으로 분출되어 나오는 위협에 대한 반응이다. 신경증적 불안이 과도할 경우 신경증(neurosis)이나 정신병(psychosis)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셋째, 도덕적 불안(moral anxiety)은 초자아와 자아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 본질적으로 자신의 양심에 대한 두려움이다
이는 도덕적 기준에 위배되는 생각이나 행동을 했을 때 유발된다.
만약 도덕적 원칙에 위배되는 본능적 충동을 표현하도록 동기화되면 초자아는 수치와 죄의식을 느끼게 되는데, 이때 죄의식이 심하면 자신의 죄를 속죄받기 위해 고의적으로 처벌받을 행동을 하기도 한다. 과도한 도덕적 불안은 신경쇠약을 초래하기도 한다.
2) 방어기제
방어기제는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
자아가 합리적인 방법으로 자신이 느끼는 불안감을 해결하지 못할 때,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비현실적인 방법으로 불안감을 제거하려고 하는 무의식적인 심리적 기제를 말한다.
프로이드는 자기방어기제를 이드(id) 충동의 공개적 표현과 이와 대립되는 초자아(superego)의 압력으로부터 개인(자아)을 보호가기 위한 전략이라고 정의하였다.
자아가 불안을 느낄 때 의식적인 수준에서 합리적으로 다루면 괜찮지만 그럴수 없을 때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현실을 왜곡하는 방어기제를 사용하게 된다.
프로이트는 자아가 불안을 의식적인 수준에서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다룰 수 없을 때는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현실을 거부하고 왜곡하는 방어기제(defensemechanism)를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 중략 –
출처 : 해피레포트 자료실